포미의 문서서식 Q&A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포미의 문서서식 Q&A
문서서식Q&A
문서서식에 관한 알찬정보 비즈폼 문서도우미 포미가 알려드립니다
문서서식Q&A 문서서식Q&A
[혼서,납폐서] 혼서는 어떻게 쓰나요?

<한자로 쓸때>

 

 

ㅇㅇ后人 ㅇㅇㅇ拜 
          (1)          (2)

    時惟孟春  
           (3)

尊體百福僕之長子年旣長成未有伉儷伏蒙
                    (4)

尊慈許以

 

   令愛長女貺室玆有先人之禮
           (5)

   謹行納幣之儀不備伏惟

 

尊照謹拜上狀

 

                                                       年     月     日 

 

 

(1) 本貫 ; 신랑측 혼주의 본관을 쓴다. 예를 들면 경주이씨의 경우는 경주, 김해김씨의 경우는

              김해.

 

(2) 婚主의 姓名 ; 신랑측의 婚主  성명을 쓴다. 신랑의 부친이 되며,  부친이 없는 경우는 조부나

     백부 숙부가 혼주가 되며 이 또한 없는 경우는 형이 혼주가 된다.

 

(3) 계절을 나타내는 말 ; 편지를 쓰고 있는 현재의 시절을 나타내는 말로, 음력으로 한 계절의

     첫 달을 "孟○" 이라고 하고 둘째달을 "仲○"  이라고 하며 셋째달은 "季○"  이라 한다.

     예를 들면 봄은 음력으로 정월 이월 삼월이니 정월을 "孟春"  이월은 "仲春" 삼월은 "季春"이라

     한다. 또 여름은 음력으로 사월 오월 유월이니 사월은 "孟夏"  오월은 "仲夏" 유월은 "季夏"라

     하며, 가을은 칠월 팔월 구월이니 칠월은 "孟秋" 팔월은 "中秋"  구월은 "季秋"라고 하며, 겨울

     은 시월 십일월 십이월이니 시월은 "孟冬" 십일월은 "仲冬" 십이월은  "季冬"이라 한다.

     예를 들어 음력 유월이라면 "季夏"라고 쓰면 되는 것이다. 

 

(4) 신랑을 말하는 것으로 신랑측 혼주와의 관계 ; 부친이 계시는 경우는 혼주가 부친이 되니

     "長子" 또는 "次子"라고 쓰면 되고, 조부가 혼주인 경우는 "孫"이라 쓰고, 형이 혼주인 경우는

     "弟"라고 쓰고, 백부나 숙부가 혼주가 되는 경우에는 "姪"이라 쓰면 된다.

 

(5) 신부를 말하는 것으로 신부측 혼주와의 관계 ; 부친이 혼주인 경우는 "長女" 또는  "次女"라고

     쓰고, 언니가 혼주인 경우는 "令妹"라고 쓰고,  백부나 숙부가 혼주인 경우는 "姪女"라고  쓰면

     된다. 

 

다른 서식은 시대에 따라 없어지거나 한글로 많이 쓰이고 있는데, 유독 "사주"와 "혼서" 만은 아직도 옛서식을 그대로 쓰고 있는 것이 통례입니다.

원래 한지에 세로로 쓰지만 편의상 가로쓰기로 하였고, 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한글로 쓸때>

 

 

ㅇㅇ(본관)   ㅇ  ㅇㅇ再拜

 

초여름 고르지 못한 날씨에 선생님께서는 건강하신지요.
저희 둘때아들 ㅇㅇ이 나이가 들었으나  아직 배필이 없더니 선생님의 둘째 따님 ㅇㅇ양을 아내로 허락해 주심을 받자 왔습니다. 
이에 옛 예절에 따라 삼가 납폐의식을 행하옵니다. 다 갖추지 못하고 엎드려 선생님께서 헤아려 주시옵기를 바라오며 삼가 글월을 올립니다.

                   

 ㅇㅇㅇㅇ년 ㅇ월 ㅇ일 

 

 

"혼서"란 신랑측 혼주가 신부측 혼주에게  "신부를 곱게 키워  시집보내 주시는데 대한 감사"와 "많이 갖추어 보내지 못하는데 대한 송구함"을 편지로 쓰는 것이니, 굳이 전통서식이 아니라도 이런 마음이 담긴 내용이라면 쉬운 한글서식도 무방할 것입니다.

 

<혼서꾸리기>

 

혼서(납폐서)는 두꺼운 종이에 붓으로 써서 봉투에 넣는데,  봉투는 봉하지 않고 상 중 하 세 곳에 "근봉(謹封)"이라고 쓴 봉함지를 두릅니다.

 

혼서 용지는 세로로 다섯 번 접어 오른 쪽에서부터 세로로 쓰며, 봉투는 앞면에 신부측 뒷면에 신랑측의 혼주 이름을 씁니다.

 

혼서 봉투는 청홍겹보로 싸되 홍색이 밖으로 나오게 싸는데, 더러는 다른 상자에 넣어 청홍겹보로 싸기도 합니다.

 

한글 혼서(납폐서) 예문

 

전통혼서(납폐서)

 
목록가기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