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역의 비전과 신무역 전략
상품중심
무역에서 탈피하여 상품 · 서비스 병행
▶ 과거에는 상품무역이 국제거래의 주종이었으나 경제의 소프트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오늘날에
는 서비스 거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 전세계 외환거래 중 상품 거래의 비중은 2%에 불과
* 선진국의 경우 서비스
부문이 경제의 80% 차지
※ 서비스 산업 : 운수(물류), 여행(관광), 통신, 보험, 기술,
특허, 사업서비스 등
▶ 20세기 세계경제가 물자중심의 산업화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지식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서비스
중심의 시대가 될 것이다.
20세기 산업화 시대 ⇒ 21세기
지식 자본주의 시대
* 부존자원이 중요
* 인적 자본과 지식스톡이 중요
* 규모의 경제
* 네트워크 경제
* 상품 거래 위주
* 상품과 서비스 동시 발전
무역센터는
21세기 한국무역의 새 터전
▶ 무역센터는 2000년 ASEM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21세기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 무역센터는 대규모 컨벤션센터와 호텔, 오피스타워 등 비즈니스 시설과
함께 단지내의 지하
위락시설과 쇼핑몰이 추가된
복합단지로써 한국을 대표하는 비즈니스 중심지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 이러한 무역센터는 21세기 한반도가 국제비즈니스 중심지로 성장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
이다. 무역센터의 기능:
국제비즈니스의 One Stop 서비스 제공.
* 주요시설 기능
◎ 국제컨벤션 센타
◎ 1만 1천 평의 전시시설
◎ 도심공항터미날
◎ 특급호텔(2개)
◎ 오피스타워(2개)
◎ 지하 위락시설 및 쇼핑몰
◎ 다양한 국제회의의 개최
◎ 세계의 상품, 서비스,
비즈니스맨의 집결지
◎ 비즈니스맨의 원활한 입출국
보장
◎ 바이어의 안락한 체류
◎ 편리한 사업공간 제공
◎ 쇼핑관광 및 비즈니스관광
제공
▶ 우리경제는 향후 지속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경상수지 흑자를 위해서는
상품 수출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상품과 서비스 무역을
병행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며 이것이 신 무역전략이다.
2만불 시대 달성을 위한
한국무역의 역할
▶ 최근 정부는 「2010년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의 선진국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
- 2010년 세계 속의 한국경제
* 무역고(수출+수입) : 8,400억달러 (세계 9위)
* 무역수지 흑자기반 정착
* 경제규모: 세계 9위
*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이상
▶ 2010년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달성을 위해서는 수출의 역할이
절대적
- 2010년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출이 적어도 연평균 11% 증가해야함.
이에 따라 수출규모 면에서도
3,800억달러 내외로 세계 수출 7~8위권에 위치해야 함
▶ 앞으로 7년간 평균 11%내외의 수출증가를 이루어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열 수 있도록
수출증가에 국민적인 관심과
비상한 노력이 요망됨.
- 새로운 수출주도 상품의 개발, 주요국과의 FTA추진,
기업하기 좋은 환경의 정착 등이 시급
|